<hand tracking> VR에서 내 손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아쿠아리움 닷컴 상어입니다. VR게임을 해보셨다면 자신의 손이 화면에 나타나는 걸 본 적이 있으시죠? 덕분에 플레이어는 자신이 게임 속에서 1인칭으로 존재한다고 느끼게 됩니다. 손은 VR에서 훌륭한 입력장치(input modality)이기 때문에 개발자들은 Hand-tracking기술로 게임 내에서 손을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Hand-tracking은 말 그대로 손을 추척해서 그 정보를 이용하는 기술입니다. 손 끝에 대한 정보로 손을 모델링해서 보여주거나, 다각도 영상을 통해 3D모델링을 하거나 합니다. 동네 VR게임방의 기기는 보통 양손에 컨트롤러를 쥐어주는데, 지금 말하는 Hand tracking기술은 ~맨손~으로 프로그램을 컨트롤하는 겁니다! 손이 훌.. 이영도 SF 「순간이동의 의미에 관하여」 이야기는 작가인 '피영우'의 연인 '좌다인'의 언니 '좌수인'이 순간이동을 성공하여 우마사라는 나라로 이동하고, 돌아오지 않자 대한민국은 그 사람 좀 데려오라고 피영우를 우마사로 보낸 후 일어나는 일들이다. '순간이동'이라는 판타지적 요소를 사회적으로, 물리적으로 몰입해서 생각해볼 수 있었다. 좌수인은 영우에게 자신이 모든 종교에 사형 선고를 내렸다고 말한다. 그에 피영우는 영혼이 없다는 걸 증명해서 그런 것이냐고 답한다. 나도 그렇게 생각했다. 몸의 물질만을 이동시켜 같은 사람을 다른 장소로 보내버린 것이니. 그러나 좌수인은 순간이동이 궁극의 이동 수단 그 이상의 것이라고 말한다. 그 이후로는 이해가 잘 안된다ㅠㅠ 피영우도 이 누나와 대화하면서 물음표를 잔뜩 띄우는데, 그래서 나도 영우에 굉장히 몰입하.. 이영도 SF 「별뜨기에 관하여」 「별뜨기에 관하여」는 「드래곤 라자」, 「눈물을 마시는 새」, 「피를 먹는 새」 등의 장르소설을 집필한 이영도 작가님의 단편 10작이 수록된 작품이다. 수록집의 제목이기도 한 「별뜨기에 관하여」를 소개하려 한다. 별뜨기가 뭐지? 별뜨기는 별 + 실뜨기의 합성어로, 미래의 신종 직업이다. 그 미래란 「카이와판돔의 번역에 관하여」에서 위탄인과 지구인이 동화를 교환해 번역하던 때로부터 50년이 흐른 후를말한다. 카이와판돔의 등장인물 박대위가 2001년생이었던 것을 생각해보면 「별뜨기에 관하여」의 지구 세상은 2080년대 쯤으로 추정된다. 이영도 월드에서 그 시대쯤이면 지구인이 초광속 우주선을 타고 별자리를 다른 각도에서 볼 수 있는 모양이다. 지금 우리가 보는 별자리가 모양을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인간이 지구.. 이영도 SF 「복수의 어머니에 관하여 crossroads.apctp.org/myboard/read.php?Board=n9998&id=734 여기서도 볼 수 있다. http://crossroads.apctp.org/myboard/read.php?Board=n9998&id=734 ※ APCTP 회원으로 가입하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무료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메일링 서비스 - Bulletin 신청, APCTP 학술행사 안내, 과학커뮤니케이션 행사 안내 2. 학술활동, 국 crossroads.apctp.org 「복수의 어머니에 관하여」는 2020년 종이책으로 발관된 이영도 작가님의 단편집 「별뜨기에 관하여」 에 「카이와판돔의 번역에 관하여」, 「구세주가 된 로봇에 대하여」, 「별뜨기에 관하여」 다음으로 수록된 단편이다. .. 이영도 SF 「카이와판돔의 번역에 관하여」 2020년, 비교적 최근에 발행된 이영도의 단편 모음 의 첫 장을 시작하는 소설이다. crossroads.apctp.org/myboard/read.php?Board=n9998&id=17&time=20170211174346 http://crossroads.apctp.org/myboard/read.php?Board=n9998&id=17&time=20170211174346 ※ APCTP 회원으로 가입하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무료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메일링 서비스 - Bulletin 신청, APCTP 학술행사 안내, 과학커뮤니케이션 행사 안내 2. 학술활동, 국 crossroads.apctp.org 나는 종이책으로 봤지만 인터넷에서 보는 것도 가능하더라! 2005년 통권인 거 보니 .. 이전 1 다음